반응형

후종인대 골화증

후종인대 골화증은 후종인대가 뼈처럼 단단하게 굳어지며 두꺼워지는 변화를 일으켜 척추관을 지나는 신경을 압박함으로써 신경 장애(척추신경근증 혹은 척수증)가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척추의 가운데에서 위, 아래로 뻗어 있거나 세로로 위치해 있는 후종인대가 뼈처럼 바뀌는(골화) 증상으로 신경이 지나는 척추관이 좁아지고 압박되어 감각 장애나 운동 장애 등 신경 증상을 일으키는 병입니다. 증상이 중증으로 진행될 경우 일상생활에 장애가 생기며 간호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골화 되는 척추 부위에 따라서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 흉추 후종인대 골화증, 요추 후종인대 골화증으로 분류됩니다. 희귀 난치성 질환 중 하나로 유병률은 평균 3% 정도입니다. 골화가 진행되고 있어도 모두 증상을 발생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중년 이후 특히 50세 전후의 남성에게 발병하는 경우가 많으며 당뇨병이나 비만 경향이 있는 사람에게도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또 유전적 경향도 보입니다.

후종인대 골화증 발병부위

발병 원인

후종인대가 두꺼워 지면서 골화 되면서 척수가 압박됨으로써 신경 증상이 생기게 됩니다. 또 척추의 움직임에 중요한 인대가 딱딱해지고 신축성이 없어지면서 척추의 움직임도 나빠지게 됩니다. 흉추나 요추에 인대 골화가 생기면 등이나 허리의 통증, 다리 저림의 원인이 됩니다.

골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요소가 종합적으로 관여하고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유전적 요소, 성 호르몬 이상, 당뇨병, 비만 경향, 노화, 뼈의 일부에 대한 강한 스트레스, 그 부위의 수핵 탈출, 전신적인 골화 경향, 칼슘과 비타민 D의 대사 이상 등입니다.

특히 유전적 요인이 강한것으로 생각되며 뼈가 생기기 쉬운 체질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모자관계 등 가족 내에서 같은 병에 걸리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형제, 자매 중 후종인대 골화증에 걸릴 확률은 약 30%라는 데이터도 있습니다.

후종인대 골화증 증상

증상을 크게 나누면 신경의 압박으로부터 오는 것과, 척추의 운동 장애에 의한 것이 있습니다.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의 경우, 신경 압박의 영향으로 우선 손이나 발에 통증이나 저림이 생기면서 증상이 진행되며, 통증이나 저림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다리나 손에 운동 장애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중증으로 진행되면 다리가 휘청거리는 등의 보행 장애, 배뇨, 배변 장애가 생기며 일상 생활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척추의 운동 장애의 영향으로 목과 어깨에 통증으로 인해 목을 움직이는 것이 어려워지기도 합니다.

흉추 후종인대 골화증에서는 체간, 하체에 증상이 나타나거나 하지의 무력이나 저림 등이 많이 나타나게 됩니다. 요추 후종인대 골화증에서는 보행 시 다리의 통증이나 저림, 탈진 등의 증세가 나타납니다. 모든 환자에게서 증상이 악화되는 것은 아니며 몇 년 후에도 증상이 다르지 않은 사람도 절반 정도 있습니다.

후종인대 골화증의 증상이 나타나는 부분

검사 및 진단

문진을 통해 자각 증상을 듣거나 확인하며 후종인대 골화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유전적 요소가 강하다고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가족력 정황도 파악하게 됩니다. 일상 생활에서 국소적으로 뼈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작업을 하는지도 확인합니다.

후종인대 골화 및 신경 압박을 확인하기 위해서 X선 검사, CT검사, MRI 검사 등의 진단도 진행됩니다.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은 X선 검사로 찾기 쉽지만, 흉추의 이상은 판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CT 검사, MRI 검사가 유용합니다. CT는 골화의 크기와 범위를 특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MRI 검사는 신경의 압박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됩니다.

후종인대 골화증 치료

보존적 치료로서는 골화에 의해 압박되고 있는 신경의 보호가 주목적으로, 우선 환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장구에 의한 고정을 필요로 합니다. 목을 뒤로 젖히는 자세를 피해야 하며 악화되지 않도록 신경 쓰는 것도 중요합니다. 약물 요법으로서는 소염 진통제, 근 이완제 등을 사용하면서 증상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마비에 대해서는 비타민 B 제를 사용합니다.

보존적 치료에서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을 필요로 합니다.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의 경우는 신경을 압박하고 있는 골화된 인대를 적출하고 뼈로 고정하는 방법이나 골화 인대는 남긴 채 척추관을 넓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후자의 방법이 주로 채용되며 골화가 큰 경우에는 전자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요추 후종인대 골화증의 경우는 척추관을 넓히는 방법이 많이 사용됩니다. 흉추 후종인대 골화증의 경우는 등 측의 추궁 부위를 잘라서 척수의 압박을 없애는 방법이 사용됩니다.

예방 및 주의사항

수술에 의해 증상이 개선되더라도 몇년 후 골화가 진행되어 다시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때문에 정기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권장됩니다. 또한 작은 증상임에도 신경 장애가 급속히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 속에서도 충분히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