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신증이란?

보통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은 신장 하부의 신우에서 요관을 지나 방광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 의해서 요관이 막혀 오줌이 잘 흐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신우에서 요관에 걸친 부분이 늘어나는 것을 '수신증', 요관에서 방광까지 부분이 늘어나는 것을 '수뇨관증'이라고 부릅니다. 아이의 경우는 선천적으로 요관과 신장의 접합부가 좁아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엄마의 뱃속에 있을 때 초음파(에코) 검사를 통해 발견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한편 어른의 경우는, 요로 결석, 전립선 비대증 등 후천적인 원인이 있는 것이 특징이지만, 중년 이후에는 요관 암이 원인이 되는 일도 있습니다.

발병 원인

소변의 통로가 좁아짐에 따라서 신장에 압력이 걸리는 것이 원인입니다. 아이의 경우는 선천적으로 신장과 요관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유전자가 관계하고 있다고 의심되고는 있지만 자세한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한편 어른의 경우는 각종 질환이 신호탄으로 수신증이나 수뇨관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예를 들면, 요로 결석과 요관 암, 전립선 암,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 비대증, 신경 기인성 방광, 만성적인 감염 등이 대표적입니다. 그 밖에 교통사고나 수술 등으로 요관이 상해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신증 증상

증상은 사람마다 다양합니다. 진행이 빠른 경우와 천천히 진행되는 경우도 달라집니다. 예를 들면, 요로 결석 등이 원인으로 단시간에 수신증이나 수뇨관증에 걸린 경우에는 옆구리부터 허리, 하복부까지 심한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변의 흐름이 한꺼번에 떨어지기 때문에 통증뿐만 아니라 구역질과 고열 등을 수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편 천천히 진행이 되는 경우는 초기 증상이 거의 없는 것도 적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옆구리가 쑤시는 것과 비슷한 통증을 느끼는 사례도 있습니다.

다른 자각 증상으로는 배에 응어리가 잡히는 것으로, 오줌으로 가득차게 된 신장이 공처럼 부풀어지게 되기 때문에 배에 응어리 같은 것이 생겨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마른 사람과 영유아는 응어리가 만져지는 것을 통해서 자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관 암이 원인인 경우는 혈뇨를 수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신장 검사

검사 및 진단

선천적인 이상이 있는 경우 태아일때 부터 엄마의 뱃속에 있을 때 초음파(에코) 검사를 통해 수신증이나 수뇨관증이 발견되는 경우가 최근에는 많아지고 있습니다.

태아 시기에 모르더라도 신생아, 유아 때 복통 등의 이상이 있는 경우 초음파(에코) 검사를 통해 발견되기도 합니다. 드물게 배에 큰 응어리가 생겨서 엄마가 만져서 발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신생아와 영유아뿐만 아니라 마른 성인도 배를 만졌을 때 응어리가 잡히는 것으로 알게 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

촉진과 초음파(에코) 검사를 통해 수신증이나 수뇨관증이 의심될 경우 더 자세히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구체적으로는 요관의 확대를 확인하기 위해서 신우 조영 촬영을 하거나 복부 CT, MRI 검사를 통해 요관이 막히는 원인을 찾기도 합니다.

수신증 치료

수신증이나 수뇨관증을 일으키는 원인에 따라서 치료 내용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소아에게 많이 볼 수 있는 신우 요관 이행부 협착의 경우 '협착부 절제', 신우 및 요관을 잇는 '신우 성형술'이 시행 합니다. 오줌의 통로에 돌이 되어 있는 요로 결석에 대해서는 돌을 없애기 위한 '쇄석술'이나 '내시경 수술' 등을 실시합니다. 전립선 암을 앓는 경우는 암의 치료와 더불어 요도를 확장하기 위한 수술 등을 실시합니다.

또한 증세의 진행이 빠를 경우 피부에서 부드러운 튜브를 신장과 연결시켜 오줌을 배출시키거나, 요관에 관을 삽입하고 오줌을 내보내는 요관 스텐트 시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암이 아니거나 증상이 가볍고 신장 기능의 저하가 없으면 소변 검사와 초음파(에코) 검사를 통해 경과 관찰을 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예방 및 주의사항

수술 후 드물게 요로 감염증이나 요로 결석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두 개의 신장 기능이 저하되지 않으면 일상적인 생활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기능이 저하되고 있는 경우에는 간 기능 관리를 하는 것도 꼭 필요하게 됩니다.